-
Research Article
-
Graph-Theoretic Optimization Strategies for Subway Station Crowd Evacuation
지하철역 군중 대피를 위한 그래프 이론 기반 최적화 전략
-
Fansheng Kong, Seungjun Ahn
공번성, 안승준
- Efficient evacuation planning in subway stations is critical to ensuring passenger safety during emergencies. This study proposes a graph-theoretic framework to model …
지하철역에서의 효율적인 대피 계획은 비상 상황 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제약과 보행자 행동을 반영한 그래프 이론 …
- Efficient evacuation planning in subway stations is critical to ensuring passenger safety during emergencies. This study proposes a graph-theoretic framework to model and optimize pedestrian evacuation strategies based on realistic spatial and behavioral parameters. A detailed network of Seoul Guryong Station is constructed and used to simulate two routing strategies: a cost-aware shortest path algorithm and a greedy disjoint path algorithm. The former minimizes individual travel resistance, while the latter promotes dispersion to reduce congestion. Simulation results in AnyLogic show that the greedy strategy achieves more balanced exit usage and reduces total evacuation time from approximately 5.66 minutes to 5.18 minutes, a 10% improvemen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flow distribution and pedestrian adaptability into routing design. The proposed approach offers a practical tool for subway operators and urban planners to enhance emergency preparedness and station design.
- COLLAPSE
지하철역에서의 효율적인 대피 계획은 비상 상황 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제약과 보행자 행동을 반영한 그래프 이론 기반 대피 최적화 모델을 제안합니다. 서울 구룡역의 실제 구조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경로 전략—비용 기반 최단경로와 분산 중심의 탐욕적 분리 경로—을 시뮬레이션 하였습니다. AnyLogic 기반의 결과는 분리 경로 전략이 출입구 활용을 더 균형 있게 분산시키고, 전체 대피 시간을 약 10% 단축시킴을 보여주었습니다. 본 연구는 대피 경로 설계 시 흐름 분산과 보행자 적응성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며, 지하철 운영자와 도시 계획자에게 실용적인 대안을 제시합니다.
-
Graph-Theoretic Optimization Strategies for Subway Station Crowd Evacuation
-
Research Article
-
Evaluation of Excavation Work Efficiency Using BIM-Integrated Machine Guidance System on Construction Site
BIM 연계 머신 가이던스 시스템을 적용한 건설현장 터파기 작업 효율성 평가
-
Byung-Chol Kim, Jae-Hoon Seo
김병철, 서재훈
- Rec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actively researching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as a solution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decreased productivity due to …
최근 건설 산업에서는 스마트 건설기술을 인력감소로 인한 생산성 저하, 안전사고 증가와 같이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
- Rec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actively researching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as a solution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decreased productivity due to labor shortages and increased safety accidents. In particula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gaining attention as a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that enhances work efficiency by visualizing various information in 3D. This study verified the productivity of excavators by applying BIM to a Machine Guidance (MG) system in a public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 The experiment measured production time, support time, and earthwork quantity from excavators equipped with the MG system and conventional excavators.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G system with BIM. The study presented the efficiency of the MG system and variables to consider when applying BIM-based MG systems in construction sites. This research aime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methods using BIM and MG systems in real-world setting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MG systems can contribute to reducing construction periods and improving work precision.
- COLLAPSE
최근 건설 산업에서는 스마트 건설기술을 인력감소로 인한 생산성 저하, 안전사고 증가와 같이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건설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은 다양한 정보를 3D화를 통해 작업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는 스마트 건설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주택지구 조성공사 현장에 BIM을 머신 가이던스(Machine Guidance, MG) 시스템에 적용하여 굴삭기의 생산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은 MG 시스템이 장착된 굴삭기와 기존 굴삭기로부터 생산시간과 지원시간, 그리고 토공 작업량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결과를 통해 BIM을 적용한 MG 시스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MG 시스템의 효율성과 건설현장에서 BIM을 적용한 MG 시스템 적용 시 고려해야하는 변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BIM과 MG 시스템을 활용한 시공 방식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MG 시스템 적용 시 공사 기간 단축과 작업 정밀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Evaluation of Excavation Work Efficiency Using BIM-Integrated Machine Guidance System on Construction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