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Automated Development of Domain-specific Thesaurus for Text Min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산업 텍스트마이닝을 위한 도메인 특화 시소러스 자동 구축
-
Youmin Park, Sangyeol Yu, Jinwoo Kim, Seonghyeon Moon
박유민, 유상열, 김진우, 문성현
- Text mining techniques are actively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automatically analyze documents and extract experiential knowledge from the field. However, …
건설산업에 존재하는 문서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현장의 경험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술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건설산업의 전문용어와 특수한 표현으로 인해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
- Text mining techniques are actively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automatically analyze documents and extract experiential knowledge from the field. However, challenges persist in leverag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and Large Language Models (LLMs) due to the specialized terminology and unique expressions prevalent in the construction domain.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the automated construction of a domain-specific thesaurus tailored to text mining applic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sing construction specification data, we employed co-occurrence analysis, Word2Vec, and cosine similarity to construct a thesaurus comprising 748,890 co-occurring words and 172,650 word embeddings. Furthermore, word association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using a word network. The thesaurus developed in this study facilitates precise correction of word recognition errors by leveraging domain-specific characteristics, thereby significantly enhancing the accuracy of text analysis for construction-related documents.
- COLLAPSE
건설산업에 존재하는 문서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현장의 경험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술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건설산업의 전문용어와 특수한 표현으로 인해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및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기술을 활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건설산업의 도메인 특성을 활용한 텍스트마이닝을 위해 건설산업 특화 시소러스를 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건설공사 시방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Co-occurrence, Word2Vec, Cosine Similarity를 활용하여 748,890개의 동시 등장 단어와 172,650개의 분산 표현 기반 시소러스를 구축하였으며, Word Network을 통해 단어 간 연관성 파악 및 시각화를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시소러스를 활용하면 입력 데이터의 도메인 특성을 파악하여 문서 내 단어 인식 오류를 정확히 수정할 수 있으며, 건설산업 문서에서 텍스트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
Automated Development of Domain-specific Thesaurus for Text Min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Research Article
-
Efficiency Analysis of Machine Guidance Technology through Work Area Movement Patterns and Excavation Volume Comparison
작업 구역 이동 패턴 및 굴착량 비교를 통한 머신 가이던스 기술의 효용성 분석
-
Seung Ju Lee, Min Ki Kim, Sung Hwan Park, Gil Sang Hwang, Jeonghwan Kim
이승주, 김민기, 박성환, 황길상, 김정환
-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and GNSS-based machine guidance excavators. Two 30-ton excavators—one operating in a traditional manner …
본 연구는 기존 방식의 굴삭기와 GNSS 기반 머신 가이던스 굴삭기의 성능 차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30톤급 굴삭기 두 대를 아파트 건설 현장의 인접 …
-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and GNSS-based machine guidance excavators. Two 30-ton excavators—one operating in a traditional manner and the other equipped with machine guidance—were deployed in adjacent sections of an apartment construction site. Key metrics such as excavation volume and travel efficiency were recorded using cameras, GNSS devices, and level surveys, while time-series and patter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each operational step. The results show that the machine guidance excavator reduced total excavation time by approximately 27% and lowered the number of digging cycles by about 16%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cavator. Over-excavation and under-excavation rates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minimizing rework needs and enhancing overall accuracy. These findings underscore how real-time positional and depth data can address inefficiencies inherent in manual, experience-based operation. This research illustrates the advantages of machine guidance technology in improving both efficiency and precision in earthwork, with particularly strong implications for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grappling with labor shortages and varying operator skill levels.
- COLLAPSE
본 연구는 기존 방식의 굴삭기와 GNSS 기반 머신 가이던스 굴삭기의 성능 차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30톤급 굴삭기 두 대를 아파트 건설 현장의 인접 구역에 배치하여, 한 대는 기존 방식으로, 다른 한 대는 머신 가이던스 시스템을 장착하여 작업하도록 하였다. 카메라, GNSS 장치, 레벨 측량을 이용하여 굴착량과 이동 효율 등의 주요 지표를 기록하였으며, 각 작업 단계의 빈도와 지속 시간을 평가하기 위해 시계열 및 패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머신 가이던스 굴삭기는 기존 굴삭기에 비해 총 굴착 시간을 약 27% 단축시켰고, 굴삭 주기 횟수를 약 16% 감소시켰다. 또한, 과굴착 및 미굴착률을 크게 낮춰 재작업 필요성을 최소화하고 전체적인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간 위치 및 깊이 데이터가 수동적인 경험 기반 작업에 내재된 비효율성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머신 가이던스 기술이 토공 작업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 어떠한 이점을 제공하는지 보여주며, 특히 노동력 부족과 작업자 숙련도 차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강력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Efficiency Analysis of Machine Guidance Technology through Work Area Movement Patterns and Excavation Volume Comparison